설명
사모펀드 투자 교육
사모펀드투자 운용전문가 실무













사모펀드 투자 교육 소개
사모펀드의 비중과 역할은 M&A 시장에서 너무 커졌습니다. 이제 사모펀드에 대한 이해 없이 시장에서의 M&A 딜 거래 활동은 이제 어렵습니다. 더욱이 사모펀드의 대형화와 경쟁심화로 M&A전략에서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전략”은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치열한 M&A시장에서 높은 프리미엄을 지불하고서라도 투자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배워야 합니다.
본 ‘사모펀드 투자 교육’은 치혈한 경쟁속에서 투자수익률을 제고하는 글로벌 펀드 전략과 투자실무를 익혀 실전감각을 높이는 데 있습니다.
사모펀드 투자 교육 (PEF 운용전문가 과정) 티저 동영상
(결제를 하시면 프로필 수강목록에서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연결됩니다.
강의는 아래와 같이 PC와 모바일에서 모두 수강할 수 있습니다.)
결제 후 위와 같이 프로필에서 수강 가능한 화면이 뜹니다.
사모펀드 투자 교육 소개
본 교육은 국내 최고의 사모펀드 투자 교육으로서 PEF 운용전문가 육성을 목표로 합니다.
사모펀드에 투자하거나 사모펀드를 직접 운영하는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사모펀드를 깊게 알아야 합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공개매각 딜의 경우 사모펀드의 구조와 역할을 이해해야 효율적 Bidding을 할 수 있고, 사모펀드를 활용해 자기자본보다 어떻게 더 큰 딜을 인수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M&A 시장의 트렌드 변화에 따라 사모펀드에 대한 학습은 필수입니다.
사모펀드 투자 교육의 강의 진행 방식
- 사모펀드 M&A 교육과정의 목표는 실제 업무로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외 충분한 사례를 통해 어려운 이론을 쉽게 익히고, 최종적으로 타겟기업을 사례로 분석해 시뮬레이션 방식으로 투자하는 연습을 실행합니다. 이 방법은 이론을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며 궁극적으로 수강생분들을 사모펀드 전문가를 양성함에 있습니다.
- 18시간의 사모펀드의 투자방식과 이론은 모두 사례로 설명하며, 국내 상장기업 하나를 설정해 절차를 따라 분석하게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 2시간 또 다른 기업을 설정해 PEF 투자자로서 대상기업을 분석하고 LBO 방식의 밸류에이션과 스트럭쳐링을 구성해 인수하는 연습을 하게 됩니다.
- 본 교육은 PC와 모바일 모두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사모펀드 투자 교육 수강에 적합한 분들
- 금융기관에서 PEF 운용이나 대체투자 담당자는
- M&A나 신규사업을 담당하는 전략٠기획٠재무٠신사업팀 담당자는
- 그 외 향후 IB 부문으로 진출을 희망하거나 사모펀드를 배우고자 하는 분들은
사모펀드 투자 교육 커리큘럼
실제 사모펀드 운용자로서 대상기업에 투자하고, 투자자(LP) 입장에서 사모펀드(GP)에 투자했던 경험자가 커리큘럼을 구성했습니다. 또한 글로벌 사모펀드의 선진형 투자기법과 기업가치 제고전략을 포함함과 동시에 국내에서 투자를 진행 시 고려해야할 실무사항들과 투자분석 연습을 포함했습니다.
토일 하루에 두 시간씩 5주간 학습을 목표로 구성했습니다.
사모펀드 투자 교육 커리큘럼 요약
Courses PEF 사모펀드 투자 운용 전문가 과정 (약 50분 x 총 20회)
- Lecture 1. 사모펀드의 이해 (50분 x 1회)
- Lecture 2. 사모펀드의 유형 (55분 x 2회)
- Lecture 3. 사모펀드 결성 (55분 x 2회)
- Lecture 4. 사모펀드 투자 프로세스 (50분 x 2회)
- Lecture 5~6. 사모펀드 밸류에이션과 LBO 밸류에이션 (50분 x 4회)
- Lecture 7. LBO 파이낸싱과 스트럭쳐링 (50분 x 3회)
- Lecture 8. 글로벌 사모펀드의 포트폴리오 기업 Value-up 전략 (50분 x 3회)
- Lecture 9. 리스크 매니지먼트 (50분 x 1회)
- Lecture 10. 샘플기업 대상 사모펀드 투자 연습 (50분 x 2회)
사모펀드 투자 교육 상세 커리큘럼
- 사모펀드의 기본적 이해
- 사모펀드의 Fee 구조와 Lifecycle
- 기업 유형 분류와 투자포인트
- 벤처캐피탈
- 그로스캐피탈 (메자닌펀드)
- 바이아웃펀드
- 구조조정펀드 Distressed PE
- 사모펀드의 결성
- 펀드자금 모집 (Fund raising)
- 투자자(LP)의 운용사(GP)선정
- 사모펀드 투자 프로세스
- 딜 소싱
- 투자기업 실사
- 사모펀드 가치평가의 특징
- 벤처캐피탈 가치평가
- 그로스펀드 가치평가
- EV/EBITDA의 활용
- EV/EBITDA 연습
- LBO 밸류에이션
- LBO 밸류에이션 연습
- LBO의 이해
- LBO의 절차
- LBO Financing
- LBO Structuring
- LBO 스트럭쳐링 사례분석
- 기업지배구조 (Corporate governance)
- 포트폴리오 기업 경영진과의 협력
- 기업가치 제고 전략
- Exit Strategy
- LP의 리스크관리
- GP의 리스크관리
- 국내 일정규모 이상의 상장사 또는 비상장사를 대상으로 펀더멘털 분석
- 대상기업 기업가치평가
- 대상기업 LBO 스트럭쳐링
- 기업가치 제고 및 Exit 전략 수립까지

수강기간은 1년이며 100% 수강 시 아래와 같이 수료증이 발부됩니다.
사모펀드 전문가 교육 수료증 샘플
첨부파일
- 본 강의의 강의안이 ‘PDF파일’로 제공됩니다.
- 10개의 레슨이 시작될때마다 각 레슨에 해당되는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사모펀드 투자 교육은 사모펀드 전문가 양성이 목표입니다.
- 기간 내 100% 이상 수강 시 수료증이 발부됩니다.
- 투자자(LP)의 입장에서 어떤 사모펀드를 투자해야 하는지 선별할 수 있는 판단력이 생깁니다.
- 더 이상 딜을 싸게만 살 수 없는 경쟁환경 속에서 LBO Pricing 기법을 통해 높은 프리미엄으로 딜을 따낸 후 투자수익률을 낼 수 있는 전략을 배웁니다.
- 가장 중요한 것, 곧 포트폴리오 기업가치 재고전략(value-up)을 익힙니다.
- 만약 이직을 준비하신다면 본 사모펀드 M&A 교육 과정을 통해 얻게 되는 사모펀드의 지식이 인터뷰시 상당한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마지막 커리큘럼에서 타겟기업을 놓고 사모펀드입장에서 LBO 벨류에이션과 스트럭쳐링 연습을 수행하므로 수료 후 실전감각을 꽤 높이게 될 것입니다.
강사의 소개

엄인수 CFA
영국 제이씨이너스파트너스에서 한국과 유럽간 Cross-border M&A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영국을 비롯해 유럽에 소재한 기업과 한국 기업간 100억원에서 2천억원에 이르는 크로스보더 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과거 벤처캐피탈과 증권사에서부터 현재까지 벤처투자, 메자닌투자, 인수금융, 기업 바이아웃, 그리고 M&A자문을 수행해왔습니다.
또한 2010년부터 현재까지 삼일PWC아카데미와 한국금융연수원 등에서 ‘인수합병 전문가’와 ‘기업가치평가’ 교육을 통해 실무자들이 M&A 실행 전 실제 M&A에 익숙해질 수 있는 시뮬레이션 방식의 인수합병 전문가 교육을 수행했습니다.
엄인수 강사는 영국 맨체스터대학교에서 MBA를 졸업했고,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습니다. CFA 자격증은 2006년도에 취득했습니다.
저서로는 “M&A거래와 PMI전략 A부터 Z까지 (2022)”와 “몸값 올리는 기업가치평가 실무 (2021)” 등이 있습니다.
환불정책 및 교육문의
- 본 상품은 결제 후 무형자산에 해당되는 리포트 및 템플릿 등을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 원칙적으로 환불이 어렵습니다.
- 다만, 결제 후 시스템 장애로 강의 수강이 어렵거나, 구매 후 14일 이내 “M&A거래와 PMI전략 실무” 강의로 바꾸길 원하실 경우 환불을 요청하시면 영업일 기준 5~7일 이내 환불처리를 해드립니다.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